블로그 보관함

2014년 2월 19일 수요일

Markup 종류

Markup, TAG, Meta data라고도 표현되는 것들의 종류에는
App 전용 Markup 과 Text기반 Markup 이 있다.

1. App 전용 Markup
Binary 정보를 기반으로 Markup 이 생성되어 해당 App이 없을 경우에는 문서를 해석할 수가 없다. 대표적으로 .doc, .xls, .ppt, .hwp 등이 해당하는 문서들이 되겠다. 미국과 각국의 대기업들이 한 기업의 App에 종속되는 것에 위험을 느끼면서 오픈소스 App에 집중을 하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odf 같은 경우가 오픈소스 기반의 App으로 굳이 해당 App이 아니더라도 그에 해당하는 규칙으로 작성된 프로그램이라면 문서를 읽는 것이 가능했다. MS사는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소스를 공개하여 .docx 와 같은 확장자를 갖는 파일이 만들어졌다.

-최적화로 파일 용량 축소, 해석속도 증가
-사람이 해석 불가능
-해당 규칙을 갖는 App 필요

2. Text 기반 Markup

-특정 App 에 종속되지 않음
-사람이 해석 가능
-최적화 부족 -> 파일 용량 증가, 해석속도 하락
    -> 컴퓨터의 성능이 좋아지면서 문제가 되지 않게 됨

댓글 없음:

댓글 쓰기